2014년 12월 25일 목요일

HOMM3 자잘한 팁들

알아두면 좋은 팁들 몇개 정리해봤음.
 
1.1마리 부대 운용
 
 
가끔 내 글을 보다보면 영웅병력창에 저렇게 한마리 부대를 여럿 만들어놓았던 적이 있다.
저렇게 나눠놓은것은 HOMM3에서 꽤나 중요한 일인데, 나눈 이유에는 2가지가 있다.
 
 
1)저렇게 초반 확장에서 궁수유닛을 감싸,궁수유닛의 피해를 최대한 줄이는 목적.
초반 확장에서 궁수가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니 이를 보호해줄 방패막이가 필요하다.
전술이 좋은 능력 취급받는 이유 중 하나. 시작전에 저렇게 배치해줄 수 있다.
하지만 후반가면 유성폭풍같은걸 쳐맞을 수 있으니 상대 영웅과 싸울때는 주의하자.
물론 드래곤류의 브레스 공격도 주의.
 
2) HOMM3의 전투특성상 그리핀이거나 반격마법이 걸려있지 않은 이상 한 번만 반격된다.
즉, 저런 1마리부대로 먼저 유닛을 치면 상대유닛이 그 1마리부대만 때리기때문에
나머지유닛들은 반격없이(=피해없이)유닛에게 딜을 넣을수가 있다.
크루세이더나 늑대약탈자같이 2연타공격하는 놈들에게 특히 유용함.
 
2.도둑길드
 
뭐 한글 할 줄 안다면 저 말들이 무슨 뜻인지는 잘 이해를 할 것이다.
문제는 개성부분인데, 개성에는 모험가/인간/건설가/전사가 있으며,
특성에 따라 AI들의 행동이 조금씩 달라진다.
 
플레이어는 무조건 인간이라고 뜨고,
모험가는 맵을 밝히기위해 애쓰는 특성을 가지고있고,
건설가는 성에 건물짓거나 하는데 노력하고,
전사는 유닛 뽑아서 다른 AI나 플레이어를 공격하는데 최적화되어있다.
플레이어 입장에서는 상대가 건설가인게 가장 편할것 같다. 특히 높은난이도일수록.
 
3. 저장소 유닛 확인.
 
그리핀저장소나 임프저장소 같은 유닛들은 안에있는 유닛 수에따라 보상이 달라진다.
하지만 안에있는 병력을 확인할 수가 없으므로 지금 털 수 있나 고민이 되는데,
 
이 상태에서, 취소를 누르게되면,
 
이렇게 유닛 숫자를 볼 수있다. 다만, 이렇게 확인하는 방법은 멀티에선 금지이므로
멀티에서 확인할 때에는 보조영웅 하나 던져서 확인해야만 한다.
(참고로 수십/다수 뭐 이렇게 안나오는건 1-1에서 말했지만 비공식패치를 적용중이어서.)
 
4.궁술아이템
HOMM3에는 궁술아이템이 총 3가지가있다.
엘프벚나무활/유니콘 갈기시위/천상의 깃털화살 이렇게 3가지가 있는데,
가지고있는 영웅이 궁술특성이 없으면 적용안된다. 굳이 넣고다니지 말자.
 
5.영웅의 이동력
각 턴마다 영웅의 이동력은,
 '턴이 시작할 때 들고있는 유닛들 중 속도가 가장 낮은 유닛' 에 비례한다. 사진으로 보자면,
 
이때는 게온이 들고있던 유닛중 제일 느린 놈이 하피(속도6) 일때의 이동력이고,
 
이건 제일 느린 유닛이 동굴인(속도4)일때의 이동력이다.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활용하여 주력영웅 옆에 보조영웅 하나를 붙여 턴이 끝날때마다 보조영웅이 주력영웅의 속도느린 유닛들만 뺏어와서 다음턴에 주력영웅의 이동력을 늘려주는 방법이 가능하다.
다만 정찰되지 않은 지역에서 그지랄하다간 주력영웅이 급습당해서 죽는수가 있으니 주의.
참고로 속도 최저치는 속도 1~3 인 유닛들, 최대치는 11이상인 유닛들이다.
그사이는 속도1마다 차이가 난다.
신속의망토(모든유닛 속도+2)가 왜 S급 아이템인지 알 수 있는 대목.
 
6.영웅의 특성
거너(레벨당 병참술+5%) 가 레벨이 10이고 고급 병참술(+30%)을 익히고 있다면,
거너의 이동력은 30+50=80% 상승하는게 아니고
30*1.5=45% 상승한다.
다른 %특성을 지닌 영웅들도 마찬가지. 나도 초반에 이게 좀 헷갈렸다.
 
7.성/성채의 공격력
1줄로 말하자면 성에 지어진 건물의 갯수에 비례한다.
 
이게 처음 공격할 때의 성의 공격력이고,
 
 
이게 며칠 뒤 다시 공격했을 때의 성의 공격력이다.
왜 흑기사가 있는지는 물어보지 말자 아래에 사기꾼! 보면 모르겠나
 
8.턴 넘어가는 순서
꽤나 중요한 팁인데, 이 게임은 실시간이 아니므로 1p턴>2p턴 이런식으로 넘어간다.
아마 순서가 빨강>파랑>살색>초록>보라.... 이런 순서일텐데, 이게 굉장히 중요하다.
바로 매주 1일에는 빨강의 턴이 제일 먼저 오므로, 빨강은 병력 생산이 가능하지만
아직 다른 플에이어는 병력 생산이 안된다. 이게 무슨뜻이냐?
빨강은 한 주치 병력을 더 가지고 공격을 할 수 있다는 뜻이다. 보급이 잘만 된다면.
물론 멀티에선 금지이다. 빨강은 전주에 들고왔던 병력으로 공격하지 않는이상
2일째가 되서야 공격이 가능하다.
 
9.전투시 턴 순서
처음 전투가 벌여졌을때 선턴은 속도 빠른 유닛이 먼저 가져간다는건 알 것이다.
근데 전투에서 속도가 같은 유닛들로만 이루어져있다면?
첫 턴은 공격한 쪽이 가져가고, 그 다음부터는 위에 배치된 유닛들부터 공격한다.

 
더 정확히 하자면 이런 상태일땐, 왼쪽에 배치된 동굴인들부터 턴이 온다.
 
 
10.쇠뇌
 
쇠뇌의 데미지는 영웅의 공격력에 비례하며, 자체의 공격력도 있다. 그리고 궁술이 적용된다.
 
영웅 공격력이 9일때의 쇠뇌의 데미지. 20-30이다.
 
영웅 공격력이 21이라면? 데미지가 44-66으로 두배 이상 뛰었다.
게다가 고급포술 특성이 찍혀있으면 두번공격+두배피해가 가능하니
영웅 공격력이 높다면 고급 포술찍는것을 고려해보자.
참고로 쇠뇌는 사기가 안뜨고, 영웅이 초급 포술이라도 익히고있다면
농성전때 성 방어시 성채/성의 궁수유닛을 조종 가능하다.(이때 마법시전도 가능)
 
11. 궁수의 데미지
그냥 간단한 팁인데, 궁수가 화살을 쏠 때 화살이 부러진 모양이라면 1/2 피해를 입히게되고,
타워의 대마법사(성벽페널티 무시)가 아닌이상 성벽이 가로막고 있다면 다시 1/2이된다.
즉 성 안에 있는 적을 때리면 1/4의 데미지가 들어가게된다. 샤프슈터는 그런거 없지만.
하지만 화살이 날아가는데 그 방향의 성벽이 부서져있다면 1/2 데미지가 들어간다.
 
12.8명 이상 영웅의 고용
HOMM3는 8명의 영웅만 고용해서 돌아다닐 수 있다. 8명의 영웅이 넘어가면,
 
이렇게 고용화면이 회색이뜨며 샤크티를 고용할 수가 없다.
 
하지만 아무 영웅이나 저렇게 성 수비모드로 전환해 놓으면, 샤크티는 고용가능하고
밖에 돌아다닐 수가 있다. 물론 거너를 다시 꺼내려면 다른 영웅을 다른 성에 박아야한다.
(저렇게 농성모드로 바꾸는 방법은 성에서 영웅 초상화 누르고 깃발 누르면 된다.
해보면 아니까 그냥 한번 해보자.)
 
13. 공격력,방어력 공식
공/방이 높으면 좋다는건 알겠는데, 어떻게 적용되는지 궁금 할 수있다. 공식은,
1) 때리는 유닛의 공>맞는 유닛의 방 이면 (공-방)*5%의 추가피해.
2) 때리는 유닛의 공<맞는 유닛의 방 이면 (방-공)*2.5% 의 피해감소.
최대치는 추가피해 400%, 피해감소 70%이다. 공격술과 방어술은 설명 귀찮으므로 생략.
예를들어, 하피(공/방/데미지 6/5/1~4) 3마리가 농부(공/방/데미지 1/1/1) 를 때릴땐,
(1~4 랜덤)*3*(6-1)*1.05 의 데미지를 입히게 된다.
근데 전투옵션에서 모든정보 켜놓으면 컴퓨터가 알아서 계산하니 무쓸모인 팁.
 
14.기사단 업그레이드
은근히 모르는 사람들이 많던데,
 
이런 식으로 기사단을 들고 있을때, 성 말고 외부의 마굿간을 방문하게 되면,
 
 
챔피언으로 업글된다. 개꿀 ㅋ
 
팁은 여기까지 하고, 3-1 공략으로 찾아뵙겠슴다. 빠이빠이~


댓글 1개: